전체 | 문화 | 탐사 | 명물 |
시티투어 |
전남 장성군은 허균의 소설 속 의적 홍길동의 고장으로 이름나 있다. 아치실 마을에 있는 홍길동테마파크에 방문하면 홍길동 생가, 전시관을 통해 소설 속에서만 보았던 홍길동의 숨결을 몸소 느낄 수 있다. 테마파크에 가는 도중에는 필암서원이 위치해 있으니 함께 둘러보자. 마지막은 요월정원림에서 마무리하면 된다.
돈암서원은 조선시대 사계 김장생이 타계한지 3년이 지난 1636년에 창건된 사원이다. 효종과 현종 재위 시 두 차례에 걸쳐 사액을 받았다. 서원 이름은 당시 서원이 위치한 곳에 돈암이라는 큰 바위가 있어 붙인 이름이다. 고종의 서원 철폐령에서도 보존된 유서깊은 서원이다. 본래의 서원 위치가 지대가 낮아 홍수로 뜰까지 물이 차서 현 위치로 1881년에 옮겼다.
돈암서원은 조선시대 사계 김장생이 타계한지 3년이 지난 1636년에 창건된 사원이다. 효종과 현종 재위 시 두 차례에 걸쳐 사액을 받았다. 서원 이름은 당시 서원이 위치한 곳에 돈암이라는 큰 바위가 있어 붙인 이름이다. 고종의 서원 철폐령에서도 보존된 유서깊은 서원이다. 본래의 서원 위치가 지대가 낮아 홍수로 뜰까지 물이 차서 현 위치로 1881년에 옮겼다.
주소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임3길 26-14
연락처041-736-0096
스러져가는 백제를 일으켜 세우려던 성충, 흥수와 더불어 백제 3충신으로 손꼽히는 계백장군의 황산벌과 멀지않은 곳에 있는 계백장군유적지는 충청남도기념물 제74호이다. 660년 신라와의 전투에서 죽음을 맞은 계백장군의 시신은 백제 유민들이 거둬 가매장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후 묘제가 내려오다 1976년 ‘전백제계백장군지묘’ 비석을 세웠다.
스러져가는 백제를 일으켜 세우려던 성충, 흥수와 더불어 백제 3충신으로 손꼽히는 계백장군의 황산벌과 멀지않은 곳에 있는 계백장군유적지는 충청남도기념물 제74호이다. 660년 신라와의 전투에서 죽음을 맞은 계백장군의 시신은 백제 유민들이 거둬 가매장한 것으로 전해진다. 그후 묘제가 내려오다 1976년 ‘전백제계백장군지묘’ 비석을 세웠다.
주소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신풍리 14
연락처041-746-8432
백제군사박물관은 계백장군이 신라군 5만여 명과 황산벌에서 최후의 일전을 벌이다 전사한 곳이다. 이곳에는 계백장군의 묘소와 영정을 모신 충장사, 백제시대 유물과 군사문화를 체험하는 박물관이 함께 있다. 여기에 자연학습공원과 호수공원을 비롯한 테마공원, 그리고 국궁과 승마 등 다양한 문화체험 시설 등도 갖추고 있다.
백제군사박물관은 계백장군이 신라군 5만여 명과 황산벌에서 최후의 일전을 벌이다 전사한 곳이다. 이곳에는 계백장군의 묘소와 영정을 모신 충장사, 백제시대 유물과 군사문화를 체험하는 박물관이 함께 있다. 여기에 자연학습공원과 호수공원을 비롯한 테마공원, 그리고 국궁과 승마 등 다양한 문화체험 시설 등도 갖추고 있다.
주소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충곡로 311-54 백제군사박물관
연락처041-730-4538
관촉사는 968년에 혜명이 불사를 짓기 시작하여 1006년에 완공하였다. 중국의 지안이라는 명승이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을 보고 미간의 옥호에서 발생한 빛이 “마치 촛불을 보는 것같이 미륵이 빛난다” 하여 관촉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경내에는 석조미륵보살입상(보물 218호)을 비롯하여 해탈문·현충각·기미독립운동기념비 많은 유물이 있다.
관촉사는 968년에 혜명이 불사를 짓기 시작하여 1006년에 완공하였다. 중국의 지안이라는 명승이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을 보고 미간의 옥호에서 발생한 빛이 “마치 촛불을 보는 것같이 미륵이 빛난다” 하여 관촉사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경내에는 석조미륵보살입상(보물 218호)을 비롯하여 해탈문·현충각·기미독립운동기념비 많은 유물이 있다.
주소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로1번길 25
연락처041-736-5700
해당 콘텐츠에 대한 기여도
기사+사진
기사
사진
오류수정